우수관 산정 기준
건축물 설계시 우수수직관 및 우수수평관의 사이즈 및 개수를 산정시 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.
국가건설기준중 우수배수설비 설계기준 KDS 31 30 35 : 2016에서 그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.
우수배수설비 설계기준 KDS 31 30 35 : 2016
4.4 우수관의 관 지름 선정
4.4.1 관 지름 기준
옥내 우수 수직관과 옥외 우수 수직관, 부지 우수배수, 부지 하수 및 이들 배수관의 모든 수평 지관의 크기는 그 지역의 기상자료에 의한 시간최대강우량을 기준으로 한다.
4.4.2 우수 수직관 지름
옥내외 우수 수직관의 관 지름은 표 4.4-1의 최대 수평투영 지붕 면적으로 선정한다.
표 4.4-1 원형 옥내외 우수 수직관 관 지름
수직관의 관 지름 (DN)1) |
수평투영 지붕면적 (m2) |
|||||||||||
강우량(mm/h) |
||||||||||||
25 |
50 |
75 |
100 |
125 |
150 |
175 |
200 |
225 |
250 |
275 |
300 |
|
50 |
268 |
134 |
89 |
67 |
54 |
45 |
38 |
34 |
30 |
27 |
24 |
22 |
80 |
816 |
408 |
272 |
204 |
164 |
136 |
117 |
102 |
91 |
82 |
74 |
68 |
100 |
1708 |
854 |
570 |
427 |
342 |
285 |
244 |
214 |
190 |
171 |
155 |
142 |
125 |
3216 |
1608 |
1072 |
804 |
643 |
536 |
460 |
402 |
357 |
322 |
292 |
268 |
150 |
5016 |
2508 |
1672 |
1254 |
1003 |
836 |
717 |
627 |
557 |
502 |
456 |
418 |
200 |
10776 |
5388 |
3592 |
2694 |
2155 |
1796 |
1540 |
1347 |
1197 |
1078 |
980 |
898 |
주 1) 관 지름은 원형관의 관 지름이다. 이 표의 원형 관과 단면적이 같은 다른 모양의 배관에 이 표를 적용할 수 있다
4.4.3 건축물 우수배관과 부지 우수배관
수평 기울기가 1/25 이하인 건축물 우수배관과 부지 우⋅오수배관 및 수평 분기관의 크기는 표 4.4-2의 최대수평투영 지붕 면적을 기준으로 선정한다. 별도의 승인이 없으면 수평지관의 기울기는 1/100 이상으로 한다.
표 4.4-2 우수수평관의 크기
수평관의 관 지름 (DN) |
수평투영 지붕면적 (m2) |
|||||
강우량 (mm/h) |
||||||
25 |
50 |
75 |
100 |
125 |
150 |
|
1/100 구배 |
||||||
80 |
305 |
153 |
102 |
76 |
61 |
51 |
100 |
668 |
334 |
223 |
167 |
134 |
111 |
125 |
1241 |
621 |
414 |
310 |
248 |
207 |
150 |
1988 |
994 |
663 |
497 |
398 |
331 |
200 |
4273 |
2137 |
1424 |
1068 |
855 |
712 |
250 |
7692 |
3846 |
2564 |
1923 |
1538 |
1282 |
300 |
12374 |
6187 |
4125 |
3094 |
2475 |
2062 |
375 |
20252 |
10126 |
6751 |
5063 |
4050 |
3375 |
1/50 구배 |
||||||
80 |
431 |
216 |
144 |
108 |
86 |
72 |
100 |
985 |
492 |
328 |
246 |
197 |
164 |
125 |
1754 |
877 |
585 |
438 |
351 |
292 |
150 |
2806 |
1403 |
935 |
701 |
561 |
468 |
200 |
6057 |
3029 |
2019 |
1514 |
1211 |
1010 |
250 |
10851 |
5425 |
3617 |
2713 |
2170 |
1808 |
300 |
17465 |
8733 |
5822 |
4366 |
3493 |
2911 |
375 |
31214 |
15607 |
10405 |
7804 |
6243 |
5202 |
1/25 구배 |
||||||
80 |
611 |
305 |
204 |
153 |
122 |
102 |
100 |
1397 |
699 |
466 |
349 |
279 |
233 |
125 |
2482 |
1241 |
827 |
621 |
496 |
414 |
150 |
3976 |
1988 |
1325 |
994 |
795 |
663 |
200 |
8547 |
4273 |
2849 |
2137 |
1709 |
1424 |
250 |
15384 |
7692 |
5128 |
3846 |
3077 |
2564 |
300 |
24748 |
12374 |
8249 |
6187 |
4950 |
4125 |
375 |
44220 |
22110 |
14740 |
11055 |
8844 |
7370 |
4.4.4 수직 벽
루프드레인과 우수관의 관 지름을 정할 때, 지붕으로 빗물이 흐르는 모든 수직 벽 면적의 1/2을 수평투영 지붕 면적에 더하여 옥내와 옥외의 우수수직관과 우수수평관의 크기를 정한다.
4.4.5 지붕 빗물받이의 크기
반원형의 빗물받이 크기는 표 4.4-3의 최대 수평투영 지붕 면적을 기준으로 한다.
표 4.4-3 반원형 지붕빗물받이
옥외 우수수직관 관 지름 (DN) |
수평 투영 지붕면적 (m2) |
|||||
강우량 (mm/h) |
||||||
25 |
50 |
75 |
100 |
125 |
150 |
|
1/200 기울기 |
||||||
80 |
63 |
31 |
21 |
16 |
13 |
10 |
100 |
133 |
66 |
44 |
33 |
27 |
22 |
125 |
231 |
115 |
77 |
58 |
46 |
38 |
150 |
354 |
177 |
118 |
89 |
71 |
59 |
175 |
509 |
255 |
170 |
127 |
102 |
85 |
200 |
735 |
367 |
245 |
184 |
147 |
122 |
250 |
1336 |
668 |
445 |
334 |
267 |
223 |
1/100 기울기 |
||||||
80 |
89 |
44 |
30 |
22 |
18 |
15 |
100 |
188 |
94 |
637 |
47 |
38 |
31 |
125 |
325 |
162 |
108 |
81 |
65 |
54 |
150 |
502 |
251 |
167 |
126 |
100 |
84 |
175 |
720 |
360 |
240 |
180 |
144 |
120 |
200 |
1040 |
520 |
347 |
260 |
208 |
173 |
250 |
1896 |
948 |
632 |
474 |
379 |
316 |
1/50 기울기 |
||||||
80 |
126 |
63 |
42 |
31 |
25 |
21 |
100 |
266 |
133 |
89 |
66 |
53 |
44 |
125 |
464 |
232 |
155 |
116 |
93 |
77 |
150 |
712 |
356 |
237 |
178 |
142 |
119 |
175 |
1020 |
510 |
340 |
255 |
204 |
170 |
200 |
1480 |
740 |
493 |
370 |
296 |
247 |
250 |
2676 |
1338 |
892 |
669 |
535 |
446 |
1/25 기울기 |
||||||
80 |
177 |
89 |
59 |
44 |
35 |
30 |
100 |
377 |
188 |
126 |
94 |
75 |
63 |
125 |
653 |
327 |
218 |
163 |
131 |
109 |
150 |
1023 |
511 |
341 |
256 |
205 |
170 |
175 |
1448 |
724 |
483 |
362 |
290 |
241 |
200 |
2080 |
1040 |
693 |
520 |
416 |
347 |
250 |
3716 |
1858 |
1239 |
929 |
743 |
619 |
기상청 자료에 의하면 시간별 최대강우량은 보은 95mm, 제천 92.5mm, 청주 91.8mm, 충주 89.5mm 이다.
우수관 계산시 참고하세요.
위에 제시한 표를 가지고 적용하지 않을 경우 계산할 수 있는 계산법입니다.
I 선홈통 관경 계산법 I
-조건-
1. 시간당최대강우량
청주지역 시간당 최대강우량은 91.8mm
계산시 시간당 최대강우량은 안전계수 1.5를 곱한다.
91.8 X 1.5 = 137.7mm
2. 초당최대강우량(IR) : 137.7mm/3,600초=0.04mm/sec
3. 지붕면적(A) : 지붕면적에는 벽을 타고 흐르는 우수량도 계산해야 하므로 외벽면적의 1/2도 지붕면적에 포함시킨다.
-선홈통계산-
1. 우수유출량(Q)
Q = IR x 0.001 x A (m3/sec) * 이계산식에서 IR은 m단위로 변경해서 계산
예 : 0.04 x 0.001 x 250m2 = 0.01
*위 예시 계산은 지붕면적 250m2일때 산식이다.
2. 유속(V)
V = C x √(2gh) (m/sec)
예 : 0.6 X √(2 x 9.8 x 0.05) = 0.59
3. 선홈통 단면적 (A0)
Q = A0 x V 이므로
A0 = Q / V
예 : 0.01 / 0.59 = 0.017
4. 선홈통의 직경(D)
D = √((4 x A0)/π) x 1000
예 : √((4 x 0.017)/3.14) x 1000 = 147.16mm
*V=유속
*C=유량계수(0.6)
*g=중력가속도(9.8m/sec2)
*h=수두(0.05m),
*IR=초당최대강우량
*A=지붕강우면적(m2)
*A0=선홈통의 단면적(m2)